개발기록
웹 프로그램 개요 본문
1-1 웹 프로그램
클라이언트 단에서 요청(request)한 것을 서버에서 받아 그에 응당하는 데이터를 추출, 가공하고 응답(response)하여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는 프로그램을 뜻한다.
즉 웹 프로그램이란,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해서 서로 다른 구성요소(PC, 브라우저 등)이 통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1-2 프로토콜(protocol)과 IP
웹 프로그래밍과 관련된 가장 기초적인 용어
통신을 하기 위한 규약으로 HTTP, FTP, SMTP, POP등이 있다.
HTTP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하이퍼텍스트를 주고받는 프로토콜
FTP : File Transfer Protocol, 이미지등의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SMTP : 메일을 주고받는 프로토콜
예를들어, 외국사람과 통화를 할 경우, 정상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위해서는 통역을 구사해야 하는데, 이 통역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프로토콜이다.
어떠한 컴퓨터의 특정한 주소 -> IP Address
네이버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본래 네이버 서버의 IP주소를 외워두고 그 서버주소로 접속해야 하는데, 숫자는 가독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DNS를 통해 도메인을 통해 접속을 한다.
그렇게 되면 IP주소를 외울 필요가 없이 단어를 통해 해당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배가 들어오는 항구를 포트라고 하는데,
많은 프로그램 중에서도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할지 결정할때 이 포트를 사용한다.
1-3 웹 프로그램의 동작 원리
- 사용자의 PC가 네이버 혹은 구글등에서 어떤 데이터를 요청한다(Request).
- 요청한 데이터는 웹서버쪽에서 어떤 데이터가 필요한지 판단한다.
- 응답을 받은 웹서버는 사용자에게 응답한다.(Response)
웹서버 내부에서는 동적인 데이터가 필요한건지, 정적인 데이터가 필요한건지 판단한다
- 정적 : 가공할 필요가 없는 HTML파일
- 동적 : 사용자가 요청한 파일에 대해 수집하고 가공하고 다른 작업이 필요할 경우, 웹 컨테이너로 요청한 데이터를 보내 처리한다.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Cookie (0) | 2020.03.19 |
---|---|
12 Servlet 데이터 공유 (0) | 2020.03.19 |
10 JSP request, response (0) | 2020.03.19 |
9 JSP 스크립트 (0) | 2020.03.19 |
5 Servlet 맵핑 (0) | 2020.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