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JSP (8)
개발기록

한글이 정상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보통 데이터가 get방식이냐, post방식이느냐에 따라 처리하는 방식이 달라진다. 15-1 한글처리 이전에는 EUC-KR로 처리했으나 , UTF-8은 만국 공통으로 쓰므로 해당 인코딩 방식을 권장한다. post 방식 : request로부터 setCharacterEncoding으로 처리 - 해당하는 서블릿마다 해당 옵션을 모두 처리 요함 get 방식 : server.xml에 옵션 추가 - server.xml에 한 번만 처리하면 됨 15-2 Filter 말그대로 무언가를 걸러낸다는 뜻이다. 웹브라우저와 서버간의 통신 중에, 필터를 통해 데이터를 한 번 걸러낸다. 필터를 이용하여 한글처리를 좀 더 쉽게 처리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모든 요청/응답이 다..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연결을 유지시켜주는 방법으로, Session에 대해 학습한다. Session을 만드는 것은 웹 컨테이너이며, 그것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14-1 Session이란 쿠키 -> 브라우저에서 생성되어 브라우저에 저장됨 세션 -> 웹컨테이너에서 생성되어 서버에 저장됨 과거의 연결을 다시 한 번 유지시켜주기 위해 쿠키와 session이 사용된다. 14-2 Session구현 cookie와 동일하여 생략한다(...)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연결을 유지시켜주는 Cookie에 대해 학습한다 13-1 Cookie란 ? 일상생활에서 과자를 먹게되면 흘리게 되는데, 이렇게 흘린 쿠키를 보며 흔적을 남긴다고 생각하게 된다. 이러한 생각을 기반으로 cookie라는 용어를 만들게 되었다.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연결을 시도한 흔적을 남겼다가, 나중에 다시 한 번 서버를 접속할 때 이 흔적을 가지고 접속을 어떻게 이어나가는지에 대해 바로 결정한다. 브라우저와 서버가 연결을 할때에, 브라우저가 먼저 요청을 하고, 서버는 데이터를 가공하여 그에 맞게 응답한다. 이 때, 우리가 사용하는 Http프로토콜의 특징은 한 번 요청한 것에 대해 응답을 하게 되면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연결을 바로 해제해버린다. 왜냐하면, 한 개의 서버는 수많은 클라이언트..

Servlet에서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12-1 servlet parameter 서블릿이 초기화될때 web.xml에서 parameter를 초기화하고, 서블릿 구동시 getInitParameter를 이용하여 초기화된 데이터의 값을 가져온다. 이전 강의와 다른점은 JSP와 Servlet의 차이일뿐 작동 원리는 동일하다. xml파일 lec08Pjt001 index.html index.htm index.jsp default.html default.htm default.jsp servletEx com.servlet.ServletEx adminId admin adminPw 1234 servletEx /se java파일 package com.servlet; import java.io.IOExcep..
사용자의 요청(Request)과 web-server의 응답(Response)를 담당하는 객체에 대해서 학습한다. 10-1 request 객체 아래 HTML 파일을 통해 웹사이트로의 방문이 가능하고, 폼 데이터를 통해 submit시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된다. 클라이언트단 html 파일 name : password : hobby : sport, cooking, travel First Page secondPage.jsp Second Page 위와 같이 작성시, firstPage를 접근한 클라이언트는 바로 secondPage로 방문하게 된다.
HTML 파일에 JAVA 관련 코드를 삽입하여 JSP파일을 만드는 방법에 관해 학습한다. 9-1. Servlet vs JSP Servlet : 순수 자바 코드로만 이루어져 있음 - 주로 doGet, doPost 메서드를 이용하여 코드 작성 - HTTPRequest를 상속받아 사용 - java파일은 javac에 의해 클래스파일로 상속됨 JSP : HTML과 Java코드를 함께 작성 - JVM이 해석할 수 있도록 jsp파일이 java파일로 컴파일됨 - java일로 컴파일 된 후 javac가 class파일로 컴파일 진행 - 결과적으로 JSP파일이 java 파일로 바뀌기 때문에, 서블릿 파일이라고 볼 수 있다. 9-2. JSP 파일 HTML5 포맷 설정 Eclipse > Window > Preference We..

Servlet으로도 웹프로그래밍을 만들 수 있고, JSP로도 만들 수 있지만 두가지 혼합하여 만드는 것이 제일 적정하다. JSP -> View Servlet -> Controller, Model 5-1. Sevlet 맵핑이란 ? Servlet을 외부에서 요청하기 쉽도록 특정 문자를 이용하여 맵핑하는 방법을 말한다. 브라우저가 요청할 경우, 어떤 서블릿을 요청하는지 우선 파악해야 한다. 보통은 경로를 통해서 서블릿을 구분하게 된다. 서블릿을 구분하기 위한 full path를 사용하게 되면 보안에 취약하며, URL이 복잡하여 사용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mapping path를 이용하게된다. 5-2. web.xml 파일을 이용한 맵핑 * 고전적인 방법 web.xml은 배치 지시자(deployment..

1-1 웹 프로그램 클라이언트 단에서 요청(request)한 것을 서버에서 받아 그에 응당하는 데이터를 추출, 가공하고 응답(response)하여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는 프로그램을 뜻한다. 즉 웹 프로그램이란,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해서 서로 다른 구성요소(PC, 브라우저 등)이 통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1-2 프로토콜(protocol)과 IP 웹 프로그래밍과 관련된 가장 기초적인 용어 통신을 하기 위한 규약으로 HTTP, FTP, SMTP, POP등이 있다. HTTP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하이퍼텍스트를 주고받는 프로토콜 FTP : File Transfer Protocol, 이미지등의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SMTP : 메일을 주고받는 프로토콜 예를들어..